- Modeling: 생각하고 있는 바를 글이나 그림으로 표현.
- 데이터의 구조와 상관관계를 표현하는 것.
- 전체 그림(시스템을 다루는 data들)을 빠르게 이해할 수 있다.
1. 테이블 정의
- 컬럼 식별
- data를 구분하기 위한 키 설정.
2. 정규화 수행
- data의 중복 제거
-> 메모리 절약.
->data 신뢰성을 높인다. (무결성)
정규화 방법
1) 제1정규화
- 중복컬럼, 중복data 제거 후 별도 테이블로 정의한다.
- 부모-자식 관계를 맺는다.
2) 제2정규화
- PK(Primary Key)가 두개 이상일 경우
3) 제3정규화
- 어떤 컬럼이 PK가 아닌 일반 컬럼에 중복되는 경우
- 별도 테이블로 분리
- 부모-자식 관계를 맺는다.
3. 도메인 정의
- 컬럼들을 분류하여 하나의 타입으로 정의
- 도메인을 컬럼에 설정
- 컬럼의 정의를 쉽게 변경 할 수 있다.
4. DBMS에 종속적인 물리 모델을 정의한다.
5. 모델을 SQL문으로 전환한다.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http://www.exerd.com/ 다운.
Rendering: 명령어에 맞춰서 화면에 뿌려지는 것.
*관계
1. 식별관계: FK == PK
2. 비식별관계: FK != PK
* N : N 관계 해소
테이블을 한개 더 만든다. (관계테이블)

댓글 없음:
댓글 쓰기